어둠에 가려진 버나드 68 분자구름 (Molecular Cloud Barnard 68)
Image Credit: FORS Team, 8.2-meter VLT Antu, ESO
어랏?! 별은 안보이고 새까맣다? 하늘에 구멍이라도 난 줄 알았더니 어두운 분자 구름이라고 한다. 여기에 있는 밀집된 먼지와 분자기체들이 그 뒤에 있는 별들에서 나오는 모든 빛을 거의 다 흡수해버렸다. 으스스한 어두운 지역은 안쪽에 위치해 있는 분자구름들을 우주에서 가장 고립되게 하고 아주 추운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가장 유명한 암흑성운은 위 영상의 주인이기도 한 뱀주인자리의 버나드 68이다. 중심에서 어떠한 별도 보이는 않는 것으로 보아 버나드 68은 우리로부터 500 광년 정도 떨어진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크기는 0.5 광년의 폭을 가진다. 버나드 68과 같은 분자구름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이런 분자구름들은 새로 별을 생성하기 위해서 자리 잡고 있는 것 같다. 사실 버나드 68도 수축을 하고 새 별로 태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적외선을 통해 바라본다면 이 분자구름을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다.
Explanation: Where did all the stars go? What used to be considered a hole in the sky is now known to astronomers as a dark molecular cloud. Here, a high concentration of dust and molecular gas absorb practically all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background stars. The eerily dark surroundings help make the interiors of molecular clouds some of the coldest and most isolated places in the universe. One of the most notable of these dark absorption nebulae is a cloud toward the constellation Ophiuchus known as Barnard 68, pictured above. That no stars are visible in the center indicates that Barnard 68 is relatively nearby, with measurements placing it about 500 light-years away and half a light-year across. It is not known exactly how molecular clouds like Barnard 68 form, but it is known that these clouds are themselves likely places for new stars to form. In fact, Barnard 68 itself has been found likely to collapse and form a new star system. It is possible to look right through the cloud in infrared light.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