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주인 자리의 반사성운 IC 4603 (IC 4603: Reflection Nebula in Ophiuchius)
Image Credit & Copyright: Rolf Olsen
이번 별 사진은 인상주의 그림을 닮았다? 이는 디지털 기법이 아닌 어마어마한 양의 성간 먼지가 만들어낸 효과이다. 차갑고 거대한, 진화한 별의 바깥 대기에서 빈번하게, 담배 연기와 비슷한 크기의 탄소로 풍부한 먼지가 만들어진다. 별이 죽으면서 먼지들이 퍼져나가고, 다시 먼지가 뭉치면서 별이 자라난다. 빽빽한 먼지 구름은 가시광을 차단하여, 뒷편의 배경 별빛을 완벽하게 숨긴다. 푸른 별빛을 우선적으로 잘 반사하는, 보다 덜 밀집한 구름은 푸른 별빛을 피어내며 주변 먼지들을 비춘다. 보통 붉은 빛에서 가장 밝은 성운의 가스 방출선이 더해지면서 마치 화가가 캔버스에 그린 그림처럼 아름다운 장면을 연출했다. 위 사진은 밝은 별 SAO 184376(정확히 8등성)을 에워싼 푸른빛의 반사성운 IC 4603의 중심부이다. IC 4603은 뱀주인자리(Ophiuchus) 방향에 놓인 밝은 별 안타레스(Antares; 1등성)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Explanation: Why does this starfield photograph resemble an impressionistic painting? The effect is created not by digital trickery but by large amounts of interstellar dust. Dust, minute globs rich in carbon and similar in size to cigarette smoke, frequently starts in the outer atmospheres of large, cool, evolved stars. The dust is dispersed as the star dies and grows as things stick to it in the interstellar medium. Dense dust clouds are opaque to visible light and can completely hide background stars. For less dense clouds, the capacity of dust to preferentially reflect blue starlight becomes important, effectively blooming the stars blue light out and marking the surrounding dust. Nebular gas emissions, typically brightest in red light, can combine to form areas seemingly created on an artist’s canvas. Photographed above is the central part of the nebula IC 4603 surrounding the bright star SAO 184376 (actually 8th magnitude) which mostly illuminates the blue reflection nebula. IC 4603 can be seen near the very bright star Antares (1st magnitude) toward the constellation of Ophiuchu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