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신성 지망생 난장이 성운의 움짤 (Eta Carinae and the Expanding Homunculus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Hubble, NASA, ESA; Processing & Copyright: First Light, J. L. Dauvergne, P. Henarejos
용골자리 에타별은 신기한 모습으로 팽창하는 성운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그 답을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아직 없다. 약 170여년 전, 남쪽 밤하늘의 용골자리 에타별 (Eta Car)에 신비로운 일이 벌어지면서, 밤하늘에서 두번째로 밝은 별이 되었다. 20년이 흐른 후, 우리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물질이 바깥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에타별은 순식간에 어두워졌다. 어찌 되었든, 그 때 뿜어져 나온 물질에 의해 난장이 성운이 만들어졌다. 위의 영상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1995년, 2001년, 그리고 2008년에 촬영한 사진을 이어 만든 움짤이다. 난장이 성운의 중심은 밝은 별빛으로 빛나며, 그 주변을 에워싼 가스 덩어리는 어두운 먼지 가닥들을 치렁치렁 단 채로 팽창하고 있다. 중심의 별에서 뿜어져나온 가스 덩어리는 제트에 의해 양갈래로 찢어졌다. 이미 공간을 메우고 있던 물질을 밀어내며 팽창하면서, 길게 늘어진 눈썹 모양으로 팽창에 의한 충격파가 만들어졌다. 용골자리 에타별은 지금도 꾸준히 일촉즉발의 분출을 겪고 있으며, 그 무거운 질량과 불안정한 상태 때문에 앞으로 수백만년 안에 환상적인 초신성으로 폭발할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Explanation: How did the Eta Carinae star system create this unusual expanding nebula? No one knows for sure. About 170 years ago, the southern star system Eta Carinae (Eta Car) mysteriously became the second brightest star system in the night sky. Twenty years later, after ejecting more mass than our Sun, Eta Car unexpectedly faded. Somehow, this outburst appears to have created the Homunculus Nebula. The three-frame video features images of the nebula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1995, 2001, and 2008. The Homonculus nebula‘s center is lit by light from a bright central star, while the surrounding regions are expanding lobes of gas laced with filaments of dark dust. Jets bisect the lobes emanating from the central stars. Expanding debris includes streaming whiskers and bow shocks caused by collisions with previously existing material. Eta Car still undergoes unexpected outbursts, and its high mass and volatility make it a candidate to explode in a spectacular supernova sometime in the next few million year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