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 성운(The Seagull Nebula)

행성 지구의 천문학자들이 봤을 때 새처럼 보이는 거대하게 펼쳐진 뜨거운 가스와 먼지의 형상은 유명한 별명 — 갈매기 성운을 연상시킨다. 협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해 완성한 이 세 장으로 구성된 우주 새의 모자이크 사진은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 방향으로 우리은하 원반을 가로지르는 2.5도 너비를 담고 있다. 연이은 초신성 폭발로 인해 휩쓸려 나간 거대한 껍질 구조의 일부로 보이는 이 넓은 갈매기 성운은 Sh2-296와 IC 2177로도 불린다. 가운데 아래와 오른쪽에 있는 선명한 푸른 호는 빠르게 움직이는 별 큰개자리 FN이 남긴 충격파다. 다른 별들과 함께 이루어진 이 복잡한 가스와 먼지 구름은 큰개자리 OB1 성협으로 갈매기 성운의 추정되는 거리 3,800광년에서 200광년 넘는 크기로 펼쳐져있다.
Explanation: A broad expanse of glowing gas and dust presents a bird-like visage to astronomers from planet Earth, suggesting its popular moniker – The Seagull Nebula. Using narrowband image data, this 3-panel mosaic of the cosmic bird covers a 2.5 degree swath across the plane of the Milky Way, near the direction of Sirius, alpha star of the constellation Canis Major. Likely part of a larger shell structure swept up by successive supernova explosions, the broad Seagull Nebula is cataloged as Sh2-296 and IC 2177. The prominent bluish arc below and right of center is a bow shock from runaway star FN Canis Majoris. This complex of gas and dust clouds with other stars of the Canis Majoris OB1 association spans over 200 light-years at the Seagull Nebula’s estimated 3,800 light-year distance.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