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인간 해시계의 하루 (A Day in the Life of a (mostly) Human Sundial)
Video Credit & Copyright: Astronomie-AG, Progymnasium Rosenfeld, Till Credner, AlltheSky.com
바늘 위에 올라서고 싶었던 적이 있는가? 물론, 이 바늘은 그림자를 그리는 해시계의 일부분이다. 해시계 시침의 그림자는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이 움직이면서 함께 움직이며, 그림자의 위치로 시간을 나타낸다. 7월 19일, 독일 로젠펠드 고등학교의 천문학 동아리는 10분마다 시침의 역할을 하는 지원자들과 함께, 인간 해시계를 만들었다. 시간 별로 이들의 참가한 여정을 기록한 타임 랩스 영상은, 유럽 중부 섬머 타임 기준으로 아침 8시에서 오후 4시까지 매 20초 간격으로 찍은 사진을 보여준다. 땅에는 그날 지역시 기준으로 매 시간을 나타내는 눈금이 그려져있다. 그 뒤의 시계탑의 시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정오 태양의 지역시를 확인할 수 있는가? (힌트: 태양이 자오선 위에 있을 때가 정오다.) 인간 해시계를 만든 이 끈질긴 참가자 그룹의 퍼포먼스는 다음 겨울에도 진행해서 태양의 고도와 하루의 길이의 변화도 확인할 계획이다.
Explanation: Have you ever wanted to be a gnomon? Of course, a gnomon is the tall part of a sundial that casts a shadow. The gnomon’s shadow moves as the Sun moves across the sky, indicating time by the shadow’s position on the dial face. So on July 19th, the Astronomy Group of the Progymnasium Rosenfeld created a human sundial, each participant patiently playing the role of the gnomon for 10 minutes. In this timelapse video of their temporal voyage of discovery, one image was taken every 20 seconds from 8 am until 4 pm Central European Summer Time. Drawn on the ground are the dial hour marks calculated to show the local time for that specific date. Behind, the tower clock offers a time check. Can you find the local time of solar noon? (Hint: At solar noon the Sun is on the meridan.) The persistent group plans a repetition of the human sundial performance next winter to compare the length of the day and the altitude of the Sun.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