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을 지나가는 베피콜롬보로 본 수성(Mercury from Passing BepiColombo)

곁을 지나가는 베피콜롬보로 본 수성(Mercury from Passing BepiColombo)

0 150
Image Credit & LicenseESAJAXABepiColomboMTM

여긴 달의 어느 부분일까? 그 어디도 아니다 — 왜냐하면 이 곳은 행성 수성이기 때문이다. 수성의 오래된 표면은 지구의 달처럼 많은 크레이터로 덮여있다. 보다 살짝 더 큰 수성은 대부분 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그 어떤 태양계 위성들보다 더 밀도가 높고 무겁다. 사실 우리 지구가 더 밀도가 높은 유일한 행성이다. 수성은 매 두 번 태양을 중심으로 궤도를 돌 때마다 정확히 세 번씩 자전을 하고, 수성의 궤도는 아주 크게 찌그러진 타원이기 때문에 수성에 간 방문자는 태양이 떠오르다가 하늘에서 멈추고 다시 떠올랐던 지평선 쪽으로 되돌아갔다가 다시 멈추고, 다시 빠르게 다른 쪽 지평선으로 넘어가는 광경을 반복해서 보게 된다. 지구에서 수성은 태양에서 아주 가깝게 보이기 때문에 해가 저문 직후나 뜨기 직전에 아주 잠깐 볼 수 있다. 위 사진은 ESA와 JAXA의 베피콜롬보 탐사선이 에너지를 줄이고 2025년 가장 안쪽 행성의 곁을 맴도는 탐사를 준비하며 지난 주 수성 곁을 지나갈 때 포착한 것이다.

Explanation: Which part of the Moon is this? No part — because this is the planet Mercury. Mercury’s old surface is heavily cratered like that of Earth’s Moon. Mercury, while only slightly larger than Luna, is much denser and more massive than any Solar Systemmoon because it is made mostly of iron. In fact, our Earth is the only planet more dense. Because Mercury rotates exactly three times for every two orbits around the Sun, and because Mercury’s orbit is so elliptical, visitors on Mercury could see the Sun rise, stop in the sky, go back toward the rising horizon, stop again, and then set quickly over the other horizon. From Earth, Mercury’s proximity to the Sun causes it to be visible only for a short time just after sunset or just before sunrise. The featured image was captured last week by ESA and JAXA‘s passing BepiColombo spacecraft as it sheds energy and prepares to orbit the innermost planet starting in 2025.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