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의한 금성 엄폐(Lunar Occultation of Venus)

달에 의한 금성 엄폐(Lunar Occultation of Venus)

0 236
Image Credit & CopyrightQuentin Gineys

5월 27일 금성이 이미 보름행성의 모습에 가까워진 모습으로 새벽녘 이지러지는 초승달과 함께 아침 샛별로 떠올랐다. 하늘에서 달의 초승달 부분과 너무 가까워서 세계 전역에서 하늘을 즐겨 보는 사람들에게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두번째와 세번째로 가장 밝은 두 천체가 만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동남 아시아와 인도양을 따라 가는 지역에서는 실제로 달이 금성 앞을 가리고 지나가는 엄폐를 볼 수 있었다. 이 움짤 애니메이션은 밝은 태양 빛을 받아 빛나는 달의 남서쪽 원반부 너머로 금성의 밝은 원반이 접근하면서 숨어드는 장면을 보여준다. 망원경으로 찍은 위 장면은 4:50am 지역시에 인도양에 있는 리유니온 섬에서 포착한 것으로, 달과 금성 모두 동쪽 지평선 아주 가까이 있을 때 찍었다. 바로 이때 금성은 리유니온 섬에서 1억 8천만 km 거리에 있었고, 그에 비하면 달은 겨우 40만 km 거리에 있었다. 약 50분 뒤에 금성은 달 뒤로 다시 나타났다.

Explanation: On May 27 Venus rose as the morning star, near the waning crescent Moon in a predawn sky already full of planets. It was close on the sky to the Moon’s crescent and a conjunction of the second an third brightest celestial beacons were enjoyed by skygazers around the world. But seen from locations along a track through southeast Asia and the Indian Ocean the Moon actually passed in front of Venus in a lunar occultation. In this animated gif the 75 percent illuminated disk of Venus approaches and just begins to disappear behind the sunlit southwestern lunar limb. The telescopic frames used to construct it were captured from Reunion Island in the Indian Ocean around 4:50am local time, with the Moon and Venus very close to the eastern horizon. At the time Venus was over 180 million kilometers from Reunion Island, compared to a lunar distance of a mere 400 thousand kilometers or so. About 50 minutes later Venus emerged from behind the Moon.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