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도마뱀 성운의 파도(Waves of the Great Lacerta Nebula)

대 도마뱀 성운의 파도(Waves of the Great Lacerta Nebula)

0 278
Image Credit & Copyright: Jarmo Ruuth, Telescope Live; Text: Ata Sarajedini (Florida Atlantic U.Astronomy Minute podcast)

이건 하늘에서 가장 거대한 성운 중 하나다 — 그런데 왜 잘 알려져있지 않을까? 거의 안드로메다 은하에 버금가는 겉보기 크기로 보이는 이 거대한 도마뱀 성운은 도마뱀자리 방향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발광 성운은 너무 어두워서 시야가 넓은 쌍안경으로는 보기 어려운데, 또 — 거의 3나 될 정도로 각크기가 너무 커서 거대한 망원경으로도 보기 어렵다. 카메라로 아주 긴 노출 촬영을 한 덕분에 샤플레스 126 (Sh2-126)이라 불리는 이 성운의 깊이, 폭, 파도, 그리고 아름다움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위 사진은 스페인 IC 천문 관측소에서 7월과 6월 사이에 여섯 날 밤에 걸쳐 다섯 가지 다른 색깔로 10시간 넘게 찍은 노출 사진을 모아서 만든 것이다. 대 도마뱀 성운 속 수소 가스는 붉게 빛나는 성운의 가운데 바로 위 밝고 푸르게 빛나는 밝은 별 도마뱀자리 10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들뜨면서 붉은 빛을 내고 있다. 이 별과 성운은 약 1,200 광년 거리에 있다.

Explanation: It is one of the largest nebulas on the sky — why isn’t it better known? Roughly the same angular size as the Andromeda Galaxy, the Great Lacerta Nebula can be found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Lizard (Lacerta). The emission nebula is difficult to see with wide-field binoculars because it is so faint, but also usually difficult to see with a large telescope because it is so great in angle — spanning about three degrees. The depth, breadth, waves, and beauty of the nebula — cataloged as Sharpless 126 (Sh2-126) — can best be seen and appreciated with a long duration camera exposure. The featured image is one such combined exposure — in this case 10 hours over five different colors and over six nights during this past June and July at the IC Astronomy Observatory in Spain. The hydrogen gas in the Great Lacerta Nebula glows red because it is excited by light from the bright star 10 Lacertae, one of the bright blue stars just above the red-glowing nebula’s center. The stars and nebula are about 1,200 light years distant.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