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반구의 밤하늘 (Two Hemisphere Night Sky)

두 반구의 밤하늘 (Two Hemisphere Night Sky)

0 898
Image Credit & CopyrightPetr Horálek/ESO, Juan Carlos Casado/IAC (TWAN)

두 반구의 지구의 밤하늘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지평선 속으로 태양이 숨었다. 디지털로 늘린 이 모자이크 사진은 행성 지구의 북위 29도와 남위 29도에서 찍은 것을 모은 것이다. 위쪽은 2020년 2월 라 팔마의 IAC 천문대에서 본 북쪽 장면이다. 아래쪽은 2016년 4월 ESO 라 실라 천문대에서 본 남쪽 장면을 잘 맞춰 붙인 것이다. 이 장면에서 은하수는 거의 수직으로 위에서 아래로 지평선을 가로질러 흐른다. 사진의 가운데 왼쪽에 있는 은하 중심 부근에는 어두운 구름과 밝은 성운들이 자리하고 있다. 위쪽 절반에는 밝은 금성이 황도광을 비추고 있다. 햇빛이 행성간 먼지에 의해 산란되면서 만들어진 황도광이 태양계의 황도면을 비추면서 별들이 가득한 밤하늘에 완벽한 원을 그려내고 있다. 거대한 망원경 돔이 라 실라의 뒤집힌 지평선 위로 볼록하게 솟아나와있지만, 라 팔망의 다중 거울 매직 망원경은 중심에 서있다. 이 두 반구의 밤하늘 사진을 보면서 당신은 안드로메다 은하와 대 그리고 소마젤란 운을 찾을 수 있다.

Explanation: The Sun is hidden by a horizon that runs across the middle in this two hemisphere view of Earth’s night sky. The digitally stitched mosaics were recorded from corresponding latitudes, one 29 degrees north and one 29 degrees south of the planet’s equator. On top is the northern view from the IAC observatory at La Palma taken in February 2020. Below is a well-matched southern scene from the ESO La Silla Observatory recorded in April 2016. In this projection, the Milky Way runs almost vertically above and below the horizon. Its dark clouds and and bright nebulae are prominent near the galactic center in the lower half of the frame. In the upper half, brilliant Venus is immersed in zodiacal light. Sunlight faintly scattered by interplanetary dust, the zodiacal light traces the Solar System’s ecliptic plane in a complete circle through the starry sky. Large telescope domes bulge along the inverted horizon from La Silla while at La Palma, multi-mirror Magic telescopes stand above center. Explore this two hemisphere night sky and you can also find the Andromeda Galaxy and the Large and Small Magellanic Cloud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