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의 검붉은 지형 (Pluto’s Bladed Terrain)
Image Credit: NASA, Johns Hopkins Univ./APL,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2015년 7월 뉴호라이즌스 탐사선이 촬영한 이 사진은 머나먼 명왕성의 검붉은 지형을 아주 가까이 확대해서 바라본 모습이 담겨있다. 거친 모습으로 펼쳐진 지형은 대부분 메탄 얼음으로 이루어진 울퉁불퉁하고 높게 솟은 지형들이 모여있는 것으로, 명왕성 적도 부근에 아주 높은 고도로 솟아있다. 극적인 모습의 그림자를 연출하는 기다란 칼 모양의 산맥들은 승화 현상으로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명왕성의 따뜻한 시기 동안 응축된 메탄 얼음은 중간에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기체로 변화한다. 지구에서도 승화 현상은 높게 솟은 칼 모양의 얼음 경사를 만듬려, 이러한 모습은 안데스 산맥을 따로 높게 솟은 고원에서 찾을 수 있다. 물 얼음으로 구성된 페니텐트로 알려진 이러한 지형은 수 미터 높이까지 솟아있다.
Explanation: Imaged during the New Horizons spacecraft flyby in July 2015, Pluto’s bladed terrain is captured in this close-up of the distant world. The bizarre texture belongs to fields of skyscraper-sized, jagged landforms made almost entirely of methane ice, found at extreme altitudes near Pluto’s equator. Casting dramatic shadows, the tall, knife-like ridges seem to have been formed by sublimation. By that process, condensed methane ice turns directly to methane gas without passing through a liquid phase during Pluto’s warmer geological periods. On planet Earth, sublimation can also produce standing fields of knife-like ice sheets, found along the high plateau of the Andes mountain range. Known as penitentes, those bladed structures are made of water ice and at most a few meters tall.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