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껍질을 벗겨내는 별 G79.29+0.46 (Massive Shell-Expelling Star G79.29+0.46)

무거운 껍질을 벗겨내는 별 G79.29+0.46 (Massive Shell-Expelling Star G79.29+0.46)

0 751

Image Credit: NASASpitzer Space TelescopeWISEProcessing & License Judy Schmidt

이렇게 활발한 별은 흔치 않다. 사진 속 먼지 구름 오른쪽 위에 보이는 무거운 별 G79.29+0.46은 현재 우리 은하에서 알려진 100개보다 적은 밝은 푸른 변광성 (LBVs) 중 하나다. LBVs은 가스 껍질을 내뽀내며 100년 마다 목성 정도 되는 질량을 잃고 있다. 밝고 푸르게 빛나는 이 별은 먼지로 둘러싸여 있지만 가시광선으로도 볼 수 있다. 녹색으로 보이는 이 죽어가는 별은 붉은 껍질에 둘러싸인 채, 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NASA의 광시야 적외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적외선 영상에 색을 입혀 합성한 것이다. G79.29+0.46는 별들이 만들어지는 백조자리 X 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어째서 별 G79.29+0.46이 이렇게 활발한지, 얼마나 오랫동안 LBV의 모습을 유지할지, 그리고 언제 초신성이 되어 폭발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Explanation: Stars this volatile are quite rare. Captured in the midst of dust clouds and visible to the right and above center is massive G79.29+0.46, one of less than 100 luminous blue variable stars (LBVs) currently known in our Galaxy. LBVs expel shells of gas and may lose even the mass of Jupiter over 100 years. The star, itself bright and blue, is shrouded in dust and so not seen in visible light. The dying star appears green and surrounded by red shells, though, in this mapped-color infrared picture combining images from NASA’s Spitzer Space Observatory and NASA’s 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 G79.29+0.46 is located in the star-forming Cygnus X region of our Galaxy. Why G79.29+0.46 is so volatile, how long it will remain in the LBV phase, and when it will explode in a supernova is not known.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