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자리의 얇은 초신성 잔해 W63 (Cygnus Shell Supernova Remnant W63)

백조자리의 얇은 초신성 잔해 W63 (Cygnus Shell Supernova Remnant W63)

0 844

Image Credit & CopyrightJ-P Metsavainio (Astro Anarchy)

오래된 죽은 별의 유령, 초신성 잔해 W63가 우리은하의 북쪽 백조자리 방향 원반에서 흐릿한 연기의 모습처럼 빛나고 있다. 이 유령같은 형상은 성간 구름과 먼지로 가득한 지역을 따라 푸르게 빛나고 있다. 보름달 네 개 정도에 해당하는 너비로 하늘에 펼쳐져있으며, 이 아름다운 장면은 100 시간의 노출을 통해 협대역 필터와 망원경으로 촬영한 열 두 장의 사진을 합쳐 만든 모자이크 장면이다. 이 사진에서 이온화된 황, 수소 그리고 산소 원자들을 각각 붉은 색, 녹색, 그리고 푸른 색으로 볼 수 있다. 5,000 광년 거리에 떨어져있으며, 여전히 커지고 있는약 150 광년 크기의 껍질 모양의 초신성 잔해의 일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W63를 만들었던 실제 기원이 되는 별이 어떤 것인지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별의 초신성 폭발당시의 빛은 약 15,000 년 전에 지구에 도달했다.

Explanation: The ghost of a long-dead star, the W63 supernova remnant shines like a faint cosmic smoke-ring along the plane of the Milky Way galaxy toward the northern constellation Cygnus the swan. Its wraithlike appearance is traced against the region’s rich complex of interstellar clouds and dust by an eerie blue glow. Spanning over four full moons on the sky, the beautiful image is a telescopic mosaic in twelve panels that combines 100 hours of exposure time using narrow band filters. It shows characteristic light from ionized atoms of sulfur, hydrogen and oxygen in red, green, and blue hues. Likely over 5,000 light-years away, the visible part of the still expanding shell supernova remnant is around 150 light-years in diameter. So far no source has been identified as with the remains of W63’s original star. Light from the star’s supernova explosion would have reached Earth over 15,000 years ago.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SIMILAR ARTICLES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