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성운: 폭발한 별의 흔적 (Veil Nebula: Wisps of an Exploded Star)

베일 성운: 폭발한 별의 흔적 (Veil Nebula: Wisps of an Exploded Star)

0 1212

Image Credit: NASA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은하수 위에서 이런 흔적들을 볼 수 있다. 약 7,000년 전 별이 초신성 폭발을 하면서 남긴 베일 성운이다. 당시 폭발하는 구름은 초승만큼 밝았고, 역사에 기록될 정도로 몇 주 동안 사람들이 볼 수 있었다. 오늘날, 그 결과 남은 초신성 잔해, 또는 백조자리 띠로 알려진 이 지역은 백조자리 방향에서 작은 망원경으로 직접 볼 수 있을 정도로 어두워졌다. 그 결과 남은 베일 성운은 실제로 굉장히 거대하지만, 약 1,400 광년 거리에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하늘에서는 고작 보름달 다섯개 정도의 크기로 보인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여섯장의 사진으로 만든 위의 사진은 약 2 광년의 너비 안에 장엄한초신성의 잔해의 작은 일부를 담고 있다. 주의 깊게 잘 들여다보면 위의 완벽한 베일 성운의 사진에서 먼지 가닥 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

Explanation: Wisps like this are all that remain visible of a Milky Way star. About 7,000 years ago that star exploded in a supernova leaving the Veil Nebula. At the time, the expanding cloud was likely as bright as a crescent Moon, remaining visible for weeks to people living at the dawn of recorded history. Today, the resulting supernova remnant, also known as the Cygnus Loop, has faded and is now visible only through a small telescope directed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wan (Cygnus). The remaining Veil Nebula is physically huge, however, and even though it lies about 1,400 light-years distant, it covers over five times the size of the full Moon. The featured picture is a Hubble Space Telescope mosaic of six images together covering a span of only about two light years, a small part of the expansive supernova remnant. In images of the complete Veil Nebula, even studious readers might not be able to identify the featured filament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