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텔기우스의 그림 (Betelgeuse Imagined)

왜 베텔기우스는 어두어지고 있을까? 아무도 모른다. 밤하늘에서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밝은 별인 베텔기우스는 단 5개월 전에 비해서 밝기가 절반 정도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 유명한 변광 초거성과 같은 별에게는 일반적인 모습이지만, 이렇게 어두워지는 모습은 베텔기우스가 초신성이 되기까지 얼마나 남았는지에 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붉은 색으로 알려진 베텔기우스는 현대의 망원경으로 뿌옇기는 하지만 분해해서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별 중 하나다. 위의 그림은 베텔기우스를 가까이서 봤을 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베텔기우스는 강렬한 플레어를 빈번하게 일으키는 복잡하고 격동하는 표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천하고 싶지는 않지만) 태양을 이 자리에 대신 두면, 그 표면은 목성 궤도 근처까지 부풀어오르게 되며, 그 가스 기둥은 해왕성까지 도달하게 된다. 베텔기우스는 약 700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초신성 폭발 사건이 지구 생명체를 위협하지는 않지만 그 밝기는 보름달에 견줄만 할 것이다. 천문학자들 — 아마추어와 전문가 모두 — 분명 이번 수 십년에 걸쳐 어두워지는 계속해서 감시할 것이다.
Explanation: Why is Betelgeuse fading? No one knows. Betelgeuse, one of the brightest and most recognized stars in the night sky, is only half as bright as it used to be only five months ago. Such variability is likely just normal behavior for this famously variable supergiant, but the recent dimming has rekindled discussion on how long it may be before Betelgeuse does go supernova. Known for its red color, Betelgeuse is one of the few stars to be resolved by modern telescopes, although only barely. The featured artist’s illustration imagines how Betelgeuse might look up close. Betelgeuse is thought to have a complex and tumultuous surface that frequently throws impressive flares. Were it to replace the Sun (not recommended), its surface would extend out near the orbit of Jupiter, while gas plumes would bubble out past Neptune. Since Betelgeuse is about 700 light years away, its eventual supernova will not endanger life on Earth even though its brightness may rival that of a full Moon. Astronomers — both amateur and professional — will surely continue to monitor Betelgeuse as this new decade unfold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