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북쪽 지역의 소적점 (North North Temperate Zone Little Red Spot)
Image Credit: NASA, JPL-Caltech, SwRI, MSSS; Processing: Gerald Eichstadt, Damian Peach
7월 11일 주노 탐사선은 따시 한 번 목성의 구름 꼭대기 근처를 지나갔다. 이번 일곱 번째 근접 비행에서 근목점을 지나가면서 주노는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를 3,500 km 거리를 두고 지나갔다. 근목점 부근에서 주노캠을 돌려 목성의 유명한 소용돌이 중 하나의 모습을 이렇게 선명하고 환상적으로 담아냈다. 약 8,000 km 크기의 역 태풍계는 1990년 대 목성의 북북쪽 온도대에서 발견되었다. 그 크기는 더 오래 전부터 알려져왔던 또 다른 목성의 역태풍 대적점의 절반 정도이지만 우리 행성 지구보다 아주 조금 작을 뿐이다. 사진 속에서 불그스름하게 담긴 광대한 지역은 북북쪽 온도대의 소적점으로 귀여운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Explanation: On July 11, the Juno spacecraft once again swung near the turbulent Jovian cloud tops. On its seventh orbital closest approach this perijove passage brought Juno within 3,500 kilometers of the Solar System’s largest planetary atmosphere. Near perijove the rotating JunoCam was able to record this stunning, clear view of one of Jupiter’s signature vortices. About 8,000 kilometers in diameter, the anticyclonic storm system was spotted in Jupiter’s North North Temperate Zone in the 1990s. That makes it about half the size of an older and better known Jovian anticyclone, the Great Red Spot, but only a little smaller than planet Earth. At times taking on reddish hues, the enormous storm system is fondly known as a North North Temperate Zone Little Red Spot.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