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먼지의 밤(A Light and Dusty Night)

밝은 새벽 별 금성이 이 남반구의 이른 봄날, 밤하늘 장면 속 서쪽 지평선에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 장면을 담기 위해 브라질 남부 카스카벨에서 9월 25일에 배경을 고정시키고 하늘을 추적하며 장면을 담았다. 해가 저물고 나서, 금성이 태양계 황도면에 있는 먼지에 의해 햇빛이 반사되면서 만들어진 원뿔 모양의 황도광 속에서 들어났다. 사실 행성 지구의 각 반구에서 춘분 즈음 해가 진 뒤에 (또는 추분 즈음 해가 뜨기 전) 지평선을 높은 각도로 가로지르는 밝고 둥근 띠의 모양으로 황도광을 가장 잘 볼 수 있다. 이날 밤 해가 진 뒤 그 위로 높이 뻗은 황도광은 우리은하의 중심부 먼지로 자욱한 채 별들이 가득한 중앙까지 이어졌다. 은하수를 따라 가운데 중심부에서 지평선까지 따라가다보면 겨우 4.37광년 거리에 떨어져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 알파 센타우리를 볼 수 있다.
Explanation: Posing as a brilliant evening star, Venus lies near the western horizon in this southern hemisphere, early spring, night skyscape. To create the composite view exposures tracking the sky and fixed for the foreground were taken on September 25 from Cascavel in southern Brazil. In view after sunset, Venus appears immersed in a cone of zodiacal light, sunlight scattered from dust along the Solar System’s ecliptic plane. In fact from either hemisphere of planet Earth, zodiacal light is most visible after sunset near a spring equinox, (or before sunrise near an autumn equinox) when its luminous arc lies at steep angles to the horizon. Extending above the sunset on this night, the zodiacal light reaches toward rich starfields and immense interstellar dust clouds in the bulge of the central Milky Way. Follow along the Milky Way from the central bulge back toward the horizon and you’ll spot the closest star system to the Sun, Alpha Centauri, a mere 4.37 light-years away.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