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플레스 249와 해파리 성운 (Sharpless 249 and the Jellyfish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Albert Barr
일반적인 어둡고 알아보기 어려운 해파리 성운이 망원경으로 바라본 이 매혹적인 사진에 포착되었다. 이 장면의 가운데 오른쪽과 왼쪽에는 밤하늘의 쌍둥이의 발에 있는 두 개의 밝은 별 쌍둥이자리 뮤와 에타가 놓여있다. 해파리 성운은 뒤에 촉수를 달고 있는 발광 성운의 둥근 형체다. 사실 이 우주 해파리는 무거운 별이 폭발하면서 만든 팽창 중인 거품 모양의 초신성 잔해 IC 443의 일부다. 이 폭발에서 출발한 빛은 지구로 약 30,000년 전에 도착했다. 또 다른 비슷한 천체물리학적 해산물인 초신성 잔해 게 성운와 마찬자기로 이 해파리 성운도 중심에 붕괴된 별의 핵인 중성자별을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샤플레스 249로 명명된 발광 성운은 왼쪽 위에 자리하고 있다. 해파리 성운은 약 5,000 광년 거리에 떨어져있다. 이 정도 거리에서 이 사진은 약 300 광년 너비를 차지한다.
Explanation: Normally faint and elusive, the Jellyfish Nebula is caught in this alluring telescopic image. Centered in the scene it’s anchored right and left by two bright stars, Mu and Eta Geminorum, at the foot of the celestial twin. The Jellyfish Nebula is the brighter arcing ridge of emission with dangling tentacles. In fact, the cosmic jellyfish is part of bubble-shaped supernova remnant IC 443, the expanding debris cloud from a massive star that exploded. Light from the explosion first reached planet Earth over 30,000 years ago. Like its cousin in astrophysical waters the Crab Nebula supernova remnant, the Jellyfish Nebula is known to harbor a neutron star, the remnant of the collapsed stellar core. An emission nebula cataloged as Sharpless 249 fills the field at the upper left. The Jellyfish Nebula is about 5,000 light-years away. At that distance, this image would be about 300 light-years acros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