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unMaculaNewHorizons1024cImage Credit: NASA, Johns Hopkins Univ./APL,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이 환상적인 사진 속에서 자국이 나있는 명왕성의 평원은 표면이 거친 고원과 접하고 있다. 왼쪽에 펼쳐진 남동쪽으로 펼쳐진 밝은 지역은 비공식적으로 스푸트니크 평원으로 불린다. 오른쪽의 가장자리에 어두운 지역은 비공식적으로 크룬 황야로 불리며 2.5km 높이의 얼음 평원이다. 가장자리를 따라, 거대한 봉우리의 갈라진 틈과 깊은 계곡들이 이어져있으며, 40km가 넘는 긴 그림자 진 바닥이 이어져 있다. 질소 얼음은 평야를 더 잘 반사시키게 만든다. 고원의 어둡고 붉은 색은 톨린이라고 불리는 복잡한 구성 성분 때문으로 생각되며, 이는 명왕성 대기 속 메탄과 화학 반응과 연관된 자외선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사진 속의 색깔을 입힌 가장 높은 지역과 두번째로 높은 지역의 고해상도 사진 자료는 지난 2015년 7월 머나먼 세계 곁을 플라이 바이 하면서 뉴호라이즌스 탐사선이 탐사한 것이다.

Explanation: Pluto’s pitted plains meet rugged highlands in this stunning view. On the left lies a southeastern extent of the bright region still informally known as Sputnik Planum. At right the edge of a dark region, informally Krun Macula, rises some 2.5 kilometers above the icy plains. Along the boundary, connected clusters of large pits form deep valleys, some over 40 kilometers long with shadowy floors. Nitrogen ice is likely responsible for the more reflective plains. The dark red color of the highlands is thought to be from complex compounds called tholins, a product of ultraviolet light induced chemical reactions with methane in Pluto’s atmosphere. The enhanced color image includes portions of the highest and second highest resolution image data from the New Horizons July 2015 flyby of the distant world.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