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의 로제타 혜성(Rosetta’s Comet in Gemini)

쌍둥이자리의 로제타 혜성(Rosetta’s Comet in Gemini)

0 438
Image Credit & Copyright: Rolando Ligustri (CARA ProjectCAST)

6.4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주기 혜성 츄리모프-게라시멘코 (67P)가 11월 7일 망원경으로 찍은 이 사진 속에 포착되었다. 쌍둥이자리 방향의 배경 별 앞에 먼지가 자욱한 혜성의 꼬리가 쌍둥이자리 웁실론 별을 향해서 오른쪽 위쪽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다. 폴룩스로도 알려진 쌍둥이자리 베타별은 쌍둥이자리의 가장 밝은 별로 사진 속 왼쪽 위 가장자리에서 빛나고 있다. 츄리모프-게라시멘코는 2021년 11월 2일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근일점에 도달한다. 11월 12일에는 지구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지점에 도달하며 이 때 혜성까지 거리는 약 0.42 천문 단위 정도다. 하지만 어두워서 맨눈으로는 보기 어렵다. 이 아주 잘 연구된 혜성은 행성 지구에서 태양계 안쪽을 거쳐 날아갔던 로봇 탐사선을 통해 탐사가 진행되었던 곳이다. 이곳은 현재 역사적인 로제타 탐사선과 필레이 착륙선이 영원히 쉬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Explanation: Returning along its 6.4 year orbit, periodic comet Churyumov-Gerasimenko (67P) is caught in this telescopic frame from November 7. Sweeping past background stars in the constellation Gemini the comet’s dusty tail stretches toward the upper right to Upsilon Geminorum. Also known as Pollux, Beta Geminorum, Gemini’s brightest star, shines just off the upper left edge of the field-of-view. Churyumov-Gerasimenko reached its 2021 perihelion or closest approach to the Sun on November 2. At perigee, its closest approach to planet Earth on November 12, this comet was about 0.42 astronomical units away, though it remains too faint to be seen by eye alone. The well-studied comet was explored by robots from planet Earth during its last trip through the inner solar system. It’s now famous as the final resting place for the historic Rosetta spacecraft and Philae lander.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