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십자가 (The Einstein Cross Gravitational Lens)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The Einstein Cross Gravitational Lens)

0 2608

Image Credit & Copyright: J. Rhoads (Arizona State U.) et al., WIYNAURANOAONSF

대부분의 은하는 핵을 갖고 있지만 — 이 은하는 핵이 네개나 되는 것일까? 천문학자들은 이 사진에서 조차 이 은하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핵은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중심의 클로버 잎은 먼 배경의 퀘이사에서 오는 빛이다. 배경 은의 중력장에 의해 먼 퀘이사에서 날아오는 빛의 경로를 꺾이면서 이런 사진이 만들어졌다. 퀘이사는 중심의 무거운 은하를 중심으로 비슷한 방향에 잘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이런 신기루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중력 렌즈로 알려져있으며, 특히 이런 모습은 아인슈타인 십자가라고 알려져 있다. 더 이상한 것은 이 사진 속의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밝기를 갖고 있으며, 배경 은하의 각각의 별에 의한 마이크로 중력 렌즈의 현상으로 보인다.

Explanation: Most galaxies have a single nucleus — does this galaxy have four? The strange answer leads astronomers to conclude that the nucleus of the surrounding galaxy is not even visible in this image. The central cloverleaf is rather light emitted from a background quasar. The gravitational field of the visible foreground galaxy breaks light from this distant quasar into four distinct images. The quasar must be properly aligned behind the center of a massive galaxy for a mirage like this to be evident. The general effect is known as gravitational lensing, and this specific case is known as the Einstein Cross. Stranger still, the images of the Einstein Cross vary in relative brightness, enhanced occasionally by the additional gravitational microlensing effect of specific stars in the foreground galaxy.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