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무아무아: 성간 소행성 (‘Oumuamua: Interstellar Asteroid)

오우무아무아: 성간 소행성 (‘Oumuamua: Interstellar Asteroid)

0 1446

Illustration Credit: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M. Kornmesser

전에 이런 것은 본 적이 없다. 이 이상한 우주 돌 오우무아무아는 우리 태양계 바깥에서 날아온 첫 소행성으로 — 사실 이 모습을 가장 많이 본 건 자동으로 하늘을 관측하는 현대식 컴퓨터 모니터링 관측이지만 분명 흥미로운 천체다. 인류의 — 굉장히 다양한 — 망원경들은 성간 여행을 하며 날아온 오우무아무아의 모습을 더 제대로 담기 위해 관측 게획을 짜고 있다. 이 그림은 오우무아무아의 모습을 가까이서 보면 어떨지 상상해서 예술가가 그린 그림이다. 오우무아무아가 더 흥미로운 것은 그 모습이 마치 공상 과학 소설 작가 아서 클라크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가상의 성간 여행 우주선 라마처럼 기다란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마처럼 오우무아무아는 길게 쭉 늘어진 모습으로 부러지지 않을 만큼 아주 강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양의 중력에 붙잡히지 않을 정도까지 접근해서 태양계를 지나가게 된다. 하지만 멀리서 방문한 우주선과 달리 오우무아무아의 궤적, 속도, 색깔, 그리고 포착할 가능성 조차 수백 만년 전 평범한 별 주변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오래전 평범한 행성과 중력을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튕겨져 날아와 은하계를 부유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우무아무아의 기원처럼, 아마도 언젠가 우리의 기술로 우리가 직접 만든 라마를 타고 태양계를 너머 이 오우무아무아처럼 우주를 누비는 인류의 소망이 이루어지게 될지 모른다.

Explanation: Nothing like it has ever been seen before. The unusual space rock ‘Oumuamua is so intriguing mainly because it is the first asteroid ever detected from outside our Solar System — although likely many more are to follow given modern computer-driven sky monitoring. Therefore humanity’s telescopes — of nearly every variety — have put ‘Oumuamua into their observing schedule to help better understand this unusual interstellar visitor. Pictured is an artist’s illustration of what ‘Oumuamua might look like up close. ‘Oumuamua is also intriguing, however, because it has unexpected parallels to Rama, a famous fictional interstellar spaceship created by the late science fiction writer Arthur C. Clarke. Like Rama, ‘Oumuamua is unusually elongated, should be made of strong material to avoid breaking apart, is only passing through our Solar System, and passed unusually close to the Sun for something gravitationally unbound. Unlike a visiting spaceship, though, ‘Oumuamua’s trajectory, speed, color, and even probability of detection are consistent with it forming naturally around a normal star many millions of years ago, being expelled after gravitationally encountering a normal planet, and subsequently orbiting in our Galaxy alone. Even given ‘Oumuamua‘s likely conventional origin, perhaps humanity can hold hope that one day we will have the technology to engineer ‘Oumuamua — or another Solar System interloper — into an interstellar Rama of our own.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