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으로 찍은 WR 140 주변 먼지 껍질(Dust Shells around WR 140 from Webb)

이 이상한 고리들은 무엇일까? 먼지로 가득한 이 고리는 마치 3D 껍질처럼 보이지만 — 이들이 어떻게 형성된 건지는 여전히 연구 주제다. 이들이 어디에 형성되어있는지는 잘 알려져있다: 백조자리 방향으로 6,000 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 — 볼프-레이에 별 WR 140가 있는 곳이다. 볼프-레이에 별은 무겁고, 밝고 격렬한 항성풍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잇다. 이들은 성간 먼지를 만드는 재료인 탄소와 같은 무거운 원소를 만들고 퍼트리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쌍성의 또 다른 별도 밝고 무겁다 — 하지만 이만큼 활동적이진 않다. 타원 궤도에서 이 두 개의 거대한 별은 매 8년 주기로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 겨루고 있다.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이 쌍성계에서 방출되는 X-선이 증가하며, 동시에 우주 공간으로 먼지가 분출되며 또 다른 껍질을 만들었을 것이다. 새로운 웹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위 적외선 사진은 이전보다 더욱 선명하고 더 자세한 먼지의 모습을 분해해서 보여준다.
Explanation: What are those strange rings? Rich in dust, the rings are likely 3D shells — but how they were created remains a topic of research. Where they were created is well known: in a binary star system that lies about 6,000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wan (Cygnus) — a system dominated by the Wolf-Rayet star WR 140. Wolf-Rayet stars are massive, bright, and known for their tumultuous winds. They are also known for creating and dispersing heavy elements such as carbon which is a building block of interstellar dust. The other star in the binary is also bright and massive — but not as active. The two great stars joust in an oblong orbit as they approach each other about every eight years. When at closest approach, the X-ray emission from the system increases, as, apparently, does the dust expelled into space — creating another shell. The featured infrared image by the new Webb Space Telescope resolves greater details and more dust shells than ever before.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