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를 빗나간 별똥별 (Meteor Misses Galaxy)
Image Credit: Aman Chokshi
은하는 절대 위험하지 않다. 사진에 담긴 삼각형자리 은하 (M33)는 그 앞을 지나간 유성의 아주 작은 암석 조각보다 훨씬 크다. 한편, 유성 조각은 고작 0.0003 광초 거리에 떨어져 있지만 이 은하는 대략 3백만 광년 거리의 훨씬 더 먼 곳에 있다. 그렇지만, 유성의 궤적은 아주 아슬아슬하게 은하 아래를 지나고 있다. 지구 대기권 높은 곳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유성이 불타면서 남긴 분자들의 흔적이 은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며 착시 효과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이 사진작가는 순발력있게 단 한 장의 노출로 은하와 유성 둘 다 사진 속에 담아냈고 — 이후에 나선 은하의 색을 입히기 위해 다른 M33의 사진 두 장을 더 추가로 합성했다. 결국, 수 초 후에 유성은 시야에서 사라졌지만 은하는 앞으로 수십억 년은 더 존재할 것이다.
Explanation: The galaxy was never in danger. For one thing, the Triangulum galaxy (M33), pictured, is much bigger than the tiny grain of rock at the head of the meteor. For another, the galaxy is much farther away — in this instance 3 million light years as opposed to only about 0.0003 light seconds. Even so, the meteor’s path took it angularly below the galaxy. Also the wind high in Earth’s atmosphere blew the meteor’s glowing evaporative molecule train away from the galaxy, in angular projection. Still, the astrophotographer was quite lucky to capture both a meteor and a galaxy in a single exposure — which was subsequently added to two other images of M33 to bring up the spiral galaxy‘s colors. At the end, the meteor was gone in a second, but the galaxy will last billions of year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