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를 에워싼 알록달록한 대기광(Colorful Airglow Bands Surround Milky Way)

왜 하늘에 거대한 무지개가 반복해서 나타났을까? 대기광이다. 물론 공기는 언제든 빛나지만, 이런 모습을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 폭풍이 접근할 때 — 난류에 의해서 지구 대기권에서 확실하게 볼 수 있는 물결 무늬가 발생한다. 이 중력파는 잔잔한 물에 돌멩이가 떨어졌을 때와 비슷하게 공기에 진동을 일으킨다. 대기광은 약 87km 높이에 있는 OH 분자가 태양에서 나온 자외선 빛을 받고 들떴을 때 발생하며, 살짝 더 높은 곳에 있는 나트륨과 산소에 의해 주황색과 녹색 빛의 대기광이 만들어진다. 몇 년 전 중국에 있는 칭하이성 켈루크 호수 근처에서 운전하면서, 한 사진가는 원래 우리 은하수 중심부의 멋진 모습을 담을 생각이었다. 그런데 사진을 다 찍고 난 뒤 놀랍게도 카메라에 담긴 그 결과물은 하늘 전역에 펼쳐진 너무나 인상적인 모습의 대기광의 모습이었다. 위 사진은 색깔의 대비를 더 강조하기 위해 디지털 보정한 결과다.
Explanation: Why would the sky glow like a giant repeating rainbow? Airglow. Now air glows all of the time, but it is usually hard to see. A disturbance however — like an approaching storm — may cause noticeable rippling in the Earth’s atmosphere. These gravity waves are oscillations in air analogous to those created when a rock is thrown in calm water. Red airglow likely originates from OH molecules about 87-kilometers high, excited by ultraviolet light from the Sun, while orange and green airglow is likely caused by sodium and oxygen atoms slightly higher up. While driving near Keluke Lake in Qinghai Provence in China a few years ago, the photographer originally noticed mainly the impressive central band of the Milky Way Galaxy. Stopping to photograph it, surprisingly, the resulting sensitive camera image showed airglow bands to be quite prominent and span the entire sky. The featured image has been digitally enhanced to make the colors more vibrant.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