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끼 속의 완보동물(Tardigrade in Moss)

외계인일까? 아마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지구 상의 모든 동물들 중에서 아마 완보동물이 가장 좋은 후보일 것이다. 완보동물은 음식과 물이 없어도 수십년을 살 수 있고, 거의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부터 물의 끓는점 온도에서까지 생존할 수 있고, 거의 압력이 없는 조건부터 해저 바닥 바로 위 수준의 압력에서도 살 수 있고, 해로운 방사선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이다. 이 극지생물들의 엄청난 생존 능력은 2011년 궤도를 도는 우주 왕복선 바깥에서 검증되었다. 완보동물들이 아주 잘 버틸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이들이 자신들의 DNA를 복구하고 체내 수분 함량을 수 퍼센트 수준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미니어처 물곰들 중 일부는 2011년 화성 위성 포보스를 향해 발사되었을 때 지구 바깥에 머물게 되었으며, 2021년 지구의 위성을 향해 발사되었을 때 또 다시 우주에 가게 되었다. 하지만 앞의 바사는 실패했고, 뒤의 착륙은 충돌했다. 완보동물은 지구에서 인간보다 훨씬 많다. 위 사진은 전자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에 색깔을 입힌 것으로, 이끼 위에 수 밀리미터 길이의 완보동물이 기어가고 있다.
Explanation: Is this an alien? Probably not, but of all the animals on Earth, the tardigrade might be the best candidate. That’s because tardigrades are known to be able to go for decades without food or water, to survive temperatures from near absolute zero to well above the boiling point of water, to survive pressures from near zero to well above that on ocean floors, and to survive direct exposure to dangerous radiations. The far-ranging survivability of these extremophiles was tested in 2011 outside an orbiting space shuttle. Tardigrades are so durable partly because they can repair their own DNA and reduce their body water content to a few percent. Some of these miniature water-bears almost became extraterrestrials in 2011 when they were launched toward to the Martian moon Phobos, and again in 2021 when they were launched toward Earth’s own moon, but the former launch failed, and the latter landing crashed. Tardigrades are more common than humans across most of the Earth. Pictured here in a color-enhanced electron micrograph, a millimeter-long tardigrade crawls on moss.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