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별로서의 금성의 마지막 날(The Last Days of Venus as the Evening...

저녁 별로서의 금성의 마지막 날(The Last Days of Venus as the Evening Star)

0 302
Image Credit & Copyright: Tamas Ladanyi (TWAN)

해가 저문 뒤 성당 첨탑 뒤에 숨어있던 것는 초승달이 아니다. 바로 초승달 모양의 위상을 하고 있는 금성이다. 약 4천 만km 거리에 떨어진 채 태양 빛을 약 2퍼센트만 반사하고 있는 모습의 금성이 1월 1일 헝가리 베스프렘에서 서쪽 ㅎ하늘을 바라보며 망원 렌즈와 카메라로 촬영한 이 노출 사진 속에 담겼다. 이 밝은 하늘의 등불은 저녁 노을 속으로 스며들었고, 저녁 별이 저물면서 2022년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겉보기 크기가 더 커지고 더 가느다란 초승달 모양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이 망원 렌즈로 바라본 장면으로 볼 수 있었다. 내합을 향해 가면서 내행성은 1월 9일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자리하게 되고 태양 빛 속에 파묻히면서 보기 어려워진다. 초승달 모양의 금성은 곧 다시 나타나게 된다. 태양이 떠오르기 바로 직전 동쪽 하늘에서 아주 밝은 아침 별의 모습으로 약 보름 정도 동안 볼 수 있게 된다.

Explanation: That’s not a young crescent Moon posing behind cathedral towers after sunset. It’s Venus in a crescent phase. About 40 million kilometers away and about 2 percent illuminated by sunlight, it was captured with camera and telephoto lens in this series of exposures as it set in western skies on January 1 from Veszprem, Hungary. The bright celestial beacon was languishing in the evening twilight, its days as the Evening Star coming to a close as 2022 began. But it was also growing larger in apparent size and becoming an ever thinner crescent in telescopic views. Heading toward a (non-judgemental) inferior conjunction, the inner planet will be positioned between Earth and Sun on January 9 and generally lost from view in the solar glare. A crescent Venus will soon reappear though. Rising in the east by mid-month just before the Sun as the brilliant Morning Star.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SIMILAR ARTICLES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