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엠버슨 1(Jones-Emberson 1)

행성상 성운 존스-엠버슨 1은 태양과 같은 별이 죽고 남긴 흔적이다. 이곳은 지구에서 예리한 눈을 갖고 있는 살쾡이자리 방향으로 약 1,600광년 거리에 있다. 약 4광년 크기이며, 죽어가는 별의 대기권이 흩어지면서 성간 공간으로 팽창하고 있는 잔해다. 수소와 헬륨으로 핵융합을 하던 중심의 별이 결국 수십 억년 뒤 파괴된다. 행성상 성운의 가운데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남아있는 별의 핵으로, 뜨겁고 푸른 백색왜성이다. PK 164 +31.1로도 알려진 이 성운은 어둡고 망원경으로 보기 아주 어렵다. 하지만 22시간에 걸친 노출을 통해 얻은 이 깊은 광대역 사진은 예외적인 아주 놀라운 세밀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우리은하 속 별들과 우주를 채우고 있는 배경 은하들이 장면을 함께 채우고 있다. 우주적 규모에서 수명이 짧은 존스-엠버슨 1은 앞으로 수천 년 뒤에 점차 어두워진다. 뜨거운 중심의 백색왜성은 수십억년에 걸쳐 식어간다.
Explanation: Planetary nebula Jones-Emberson 1 is the death shroud of a dying Sun-like star. It lies some 1,600 light-years from Earth toward the sharp-eyed constellation Lynx. About 4 light-years across, the expanding remnant of the dying star’s atmosphere was shrugged off into interstellar space, as the star’s central supply of hydrogen and then helium for fusion was finally depleted after billions of years. Visible near the center of the planetary nebula is what remains of the stellar core, a blue-hot white dwarf star. Also known as PK 164 +31.1, the nebula is faint and very difficult to glimpse at a telescope’s eyepiece. But this deep broadband image combining 22 hours of exposure time does show it off in exceptional detail. Stars within our own Milky Way galaxy as well as background galaxies across the universe are scattered through the clear field of view. Ephemeral on the cosmic stage, Jones-Emberson 1 will fade away over the next few thousand years. Its hot, central white dwarf star will take billions of years to cool.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