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신성 잔해 연수 성운(The Medulla Nebula Supernova Remnant)

무엇이 이 독특한 성운을 만들었을까? CTB-1은 10,000년 전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에 있던 무거운 별이 죽으면서 남긴 가스 껍질이 팽창하고 있는 곳이다. 이 별은 핵 주변에 핵융합으로 안정적인 압력을 만들 수 있는 원소가 부족해지면서 사라졌다. 그 결과 만든 초신성 잔해는 뇌를 닮은 모양 때문에 연수 성운이라고 부르며, 주변의 성간 먼지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열로 인해 가시광으로도 볼 수 있다. 왜 성운이 X-선에서도 밝게 빛나는지는 아직 미스테리로 남아있다. 한 가지 가설에 따르면 강력한 펄사가 빠르게 불어나가는 항성풍을 일으키면서 함께 성운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가설을 뒷받침하듯 최근 전파 파장에서 펄사가 발견되었으며 초속 1000km의 속도로 초신성 폭발로 인해 날아간 것으로 보인다. 연수 성운은 보름달만한 크기로 보이지만 너무 어두워서 이 사진을 담기 위해 캐나다, 앨버타, 세븐 퍼슨스에서 망원경으로 수 시간에 걸친 노출이 필요했다.
Explanation: What powers this unusual nebula? CTB-1 is the expanding gas shell that was left when a massive star toward the constellation of Cassiopeia exploded about 10,000 years ago. The star likely detonated when it ran out of elements near its core that could create stabilizing pressure with nuclear fusion. The resulting supernova remnant, nicknamed the Medulla Nebula for its brain-like shape, still glows in visible light by the heat generated by its collision with confining interstellar gas. Why the nebula also glows in X-ray light, though, remains a mystery. One hypothesis holds that an energetic pulsar was co-created that powers the nebula with a fast outwardly moving wind. Following this lead, a pulsar has recently been found in radio waves that appears to have been expelled by the supernova explosion at over 1000 kilometers per second. Although the Medulla Nebula appears as large as a full moon, it is so faint that it took many hours of exposure with a telescope in Seven Persons, Alberta, Canada to create the featured image.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