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싯넝 잔해: 베일 성운(Supernova Remnant: The Veil Nebula)

초싯넝 잔해: 베일 성운(Supernova Remnant: The Veil Nebula)

0 219
Image Credit & Copyright: Craig Stocks (Utah Desert Remote Observatories)

만 년 전, 인류의 역사시대가 시작하기 전, 바마늘에 갑자기 새로운 빛이 등장했다가 몇 주에 걸쳐 어두워졌다. 오늘날 우리는 이 빛이 폭발하는 별, 초신성이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잔해는 초신성 잔해 베일 성운이 되었다. 위 사진은  (붉은색), 수소 (녹색), 그리고 산소 (푸른색)에서 방출되는 빛을 각 색깔 필터로 담은 것으로, 넓은 화각의 사진 속에서 들을 지워서 베일 성운의 뜨거운 필라멘트를 더 인상적으로 담고 있다. 백조자리 루프로도 알려진 베일 성운은 백조자리 방향의 하늘에서 거의 3도 크기로 둥글게 펼쳐져있다. 이 성운은 여러 유명한 부위로 이뤄져있는데, 박쥐 성운마녀 빗자루 성운, 그리고 플레밍의 삼각형 조각이 있다. 위 초신성 잔해는 약 1,400 광년 거리에 있다.

Explanation: Ten thousand years ago, before the dawn of recorded human history, a new light would have suddenly have appeared in the night sky and faded after a few weeks. Today we know this light was from a supernova, or exploding star, and record the expanding debris cloud as the Veil Nebula, a supernova remnant. Imaged with color filters featuring light emitted by sulfur (red), hydrogen (green), and oxygen (blue), this deep wide-angle view was processed to remove the stars and so better capture the impressive glowing filaments of the Veil. Also known as the Cygnus Loop, the Veil Nebula is roughly circular in shape and covers nearly 3 degrees on the sk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wan (Cygnus). Famous nebular sections include the Bat Nebula, the Witch’s Broom Nebula, and Fleming’s Triangular Wisp. The complete supernova remnant lies about 1,400 light-years away.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