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톤의 부스러기 (Phaethon’s Brood)

패톤의 부스러기 (Phaethon’s Brood)

0 824

Image Credit & CopyrightMikiya Sato (Nippon Meteor Society)

잘 측정된 궤도를 바탕으로 3200 패톤 (페이톤처럼 읽는다) 은 매년 찾아오는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기원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유성우들이 혜성에서 비롯되지만 3200 패톤은 약 1.4년의 주기로 맴도는 지구 근접 소행성으로 알려져있다. 햇빛을 받고 있는 암석질의 이 소행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는 근일점이 가장 안쪽의 행성 수성 궤도보다 더 가까이 접근한다. 이 망원경으로 찍은 장면에서 소행성들의 빠른 움직임은 멀리 왼쪽의 페르세우스자리의 별들을 배경으로 약 2분 동안 움직이는 궤적을 남겼따. 하늘을 가로지르며 소행성이 남긴 부스러기들이 평행한 궤적을 남겼다. 이 소행성의 가족들의 모습은 지난 12월 13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극에 달했을 때 촬영한 것이다. 이 날은 바로 12월 16일 3200 패톤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기 전에 찍은 것이다.

Explanation: Based on its well-measured orbit, 3200 Phaethon (sounds like FAY-eh-thon) is recognized as the source of the meteroid stream responsible for the annual Geminid meteor shower. Even though most meteor showers’ parents are comets, 3200 Phaethon is a known and closely tracked near-Earth asteroid with a 1.4 year orbital period. Rocky and sun-baked, its perihelion or closest approach to the Sun is well within the orbit of innermost planet Mercury. In this telescopic field of view, the asteroid’s rapid motion against faint background stars of the heroic constellation Perseus left a short trail during the two minute total exposure time. The parallel streaks of its meteoric children flashed much more quickly across the scene. The family portrait was recorded near the Geminid meteor shower’s very active peak on December 13. That was just before 3200 Phaethon’s historic December 16 closest approach to planet Earth.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