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밍의 삼각형 줄기(Fleming’s Triangular Wisp)

플레밍의 삼각형 줄기(Fleming’s Triangular Wisp)

0 344
Image Credit & Copyright: Anthony Saab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행성 지구에서 백조자리 쪽 베일 성운 쪽을 바라보면 달아오른 가스가 충격파를 받아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필라멘트 구조를 볼 수 있다. 베일 성운은 거대한 초신성 잔해로 무거운 별이 죽으면서 폭발과 함께 남긴 팽창하고 있는 구름이다. 당시 초신성의 실제 폭발로 인한 빛은 지구에 약 5,000년 더 전에 도달했다. 달아오른 필라멘트는 실제로는 얇은 면을 옆에서 봐서 긴 산맥처럼 보인다. 이온화된 수소 원자의 빛이 푸른색으로 산소는 붉은 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백조자리 루프로도 알려지고 NGC 6979로 명명된 베일 성운은 현재 보름달 크기의 여섯 배로 펼쳐져있다. 이 줄기의 길이는 그 거리 2,400 광년을 감안하면 약 30 광년 크기다.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디렉터였던 피커링의 삼각형으로 불리며, 발견한 사람의 이름 천문학자 윌리아미나 플레밍을 따서 플레밍의 삼각형 줄기라고도 부른다.

Explanation: Chaotic in appearance, these tangled filaments of shocked, glowing gas are spread across planet Earth’s sk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Cygnus as part of the Veil Nebula. The Veil Nebula itself is a large supernova remnant, an expanding cloud born of the death explosion of a massive star. Light from the original supernova explosion likely reached Earth over 5,000 years ago. The glowing filaments are really more like long ripples in a sheet seen almost edge on, remarkably well separated into the glow of ionized hydrogen atoms shown in blue and oxygen in red hues. Also known as the Cygnus Loop and cataloged as NGC 6979, the Veil Nebula now spans about 6 times the diameter of the full Moon. The length of the wisp corresponds to about 30 light years, given its estimated distance of 2,400 light years. Often identified as Pickering’s Triangle for a director of Harvard College Observatory, it is also named for its discoverer, astronomer Williamina Fleming, as Fleming’s Triangular Wisp.

Authors & editors: Robert Nemiroff (MTU) & Jerry Bonnell (UMCP)
NASA Official: Phillip Newman Specific rights apply.
NASA Web Privacy Policy and Important Notices
A Service of: ASD at NASA / GSFC & Michigan Tech. U.
Translated by: WouldYouLike Woong-bae Zee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