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ber by
EMSIEN-3
LTD
CLOSE
Home
Social
Menu
수습기자단
문화
미술&문학
역사
영화&음악
우주
별과 성단
외계행성
은하와 우주
첨단기술
우주탐사
인공위성
태양계
기타
지구와 달
태양
행성
뉴스
현장학습
인터뷰
천문대
천문학회
자유게시판
Contact us
APOD
Home
Social
Menu
수습기자단
문화
미술&문학
역사
영화&음악
우주
별과 성단
외계행성
은하와 우주
첨단기술
우주탐사
인공위성
태양계
기타
지구와 달
태양
행성
뉴스
현장학습
인터뷰
천문대
천문학회
자유게시판
Contact us
APOD
Home
MAGAZINE
문화
문화
미술&문학
역사
영화&음악
MAGAZINE
2016년 6월 2일
파란별 옆 빨간별 : 장거리커플의
연애 일상사
Current issue
2016년 3월 30일
영문학 속의 우주 : 낭만주의
영시
Current issue
2016년 3월 30일
여행자 천문학 #2. 어린왕자의
석양
MAGAZINE
2016년 2월 29일
MIKROCOSMOS ; within the father’s
love
Current issue
2016년 2월 27일
스크린 속 무서운 우주
Current issue
2016년 2월 24일
천문학으로 그림 읽기
MAGAZINE
2016년 2월 21일
휴대 행성
MAGAZINE
2016년 2월 18일
노벨상 속 천문학
Current issue
2016년 2월 17일
우주론의 역사
Current issue
2016년 2월 16일
Do You Know 지동설?
파란별 옆 빨간별 : 장거리커플의 연애 일상사
2016년 6월 2일
0
6158
지구와 화성,장거리커플의 연애 일상사 위치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은 정말 나에게 어울린다. 나는 지금 캐나다에서 교환학생을 하고 있다. 아래와 같은 글을 창작해낼 수 있는 이유도 내가...
영문학 속의 우주 : 낭만주의 영시
2016년 3월 30일
0
13233
천문학(天文學)은 하늘의 문학(文學)이다. 광대한 자연, 미지의 영역으로서 우주는 누군가가 시상을 떠올리게 한다. 17-18세기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들도 시에 우주를 담았다. Who but is Pleased to Watch...
여행자 천문학 #2. 어린왕자의 석양
2016년 3월 30일
0
4000
“ 이들의 움직임은 마치 오페라의 발레단처럼 질서정연했다. 맨 처음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차례였다. 그들이 가로등을 켜고 잠을 자러 가면, 중국과 시베리아의 사람들이 발레 무대에 나타났다. 그들 역시...
밤하늘에 숨겨진 우리 역사
2016년 3월 30일
0
6168
우리나라 천문학의 역사 ‘밤하늘을 올려다보는 건 곧 과거를 보는 것이다.’ 라는 문구는 천문학을 조금이라도 접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빛의...
MIKROCOSMOS ; within the father’s love
2016년 2월 29일
0
2260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저마다의 신년 계획을 세운다. 금연, 운동 등의 많은 계획중에서도 음아고가 관련된 취미를 갖는 사람들은 악기를 배우거나 공연을 목표로 삼고 음악 학원으로...
스크린 속 무서운 우주
2016년 2월 27일
0
5019
2013년 한해 동안 많은 영화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영화로 단연 우주에서의 표류를 그린 재난영화 <그래비티>(2013)를 빼놓을 수 잆다. 영화 <그래비티>의...
천문학으로 그림 읽기
2016년 2월 24일
0
6343
천문학자들은 뭐하는 사람들일까? ‘천문학자’ 하면 당신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몇 가지 이미지들이 있을 것이다. 밤새워 거대한 망원경으로 하늘을 올려다보는 모습? 수식이 가득한 칠판과 지저분한 책상에...
휴대 행성
2016년 2월 21일
0
3654
가끔 아무 이유 없이 지구에 태어나 살고 있다는 걸 생각해 보면 꼬리를 무는 의문에 머리가 아파지기도 한다. 머리가 이미 다른 일들로 꽉 차 있다면...
노벨상 속 천문학
2016년 2월 18일
0
8372
노벨상! 여러분은 노벨상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다이너마이트를 만든 노벨과 우리나라 최초로 노벨상을 받은 故 김대중 대통령이 바로 떠오를 것이다. 사실 노벨상은 대부분의...
우주론의 역사
2016년 2월 17일
0
16429
인류가 태어났을 때에, 지구에는 이미 안정적인 하늘과 땅, 바다가 자리 잡고 있었다. 인류는 땅을 딛고 하늘을 어깨에 짊어진 채 태어난 종족이다. 즉, 우리는 우리...
1
2
Next
Page 1 of 2